스터디 3

[스프링 스터디] 3주차 - 트랜잭션, 보안

트랜잭션 정의 여러 개의 DML 명령문을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로 묶어서 관리하는 것 ALL 또는 Nothing 방식으로 작업을 처리함으로써 작업의 일관성 유지] 트랜잭션 처리 = 어떤 한 작업 묶음 속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, 원상복구 시키는 것 데이터 무결성 유지 트랜잭션의 특징(ACID) Atomicity(원자성) : 트랜잭션은 자기의 연산을 전부 또는 전무 실행만이 있지 일부 실행으로 트랜잭션의 기능을 갖는 것은 아니다. Consistency(일관성) : 트랜잭션이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한다. 즉, 트랜잭션 실행의 결과로 데이터베이스 상태가 모순되지 않는다. Isolation(격리성) : 트랜잭션이 실행 중에 있는 연산의 중간 결과는 다른 트..

💻/스터디 2020.08.03

[스프링 스터디] 2주차 - 프로젝트 구조, 실습 개념 정리

Spring 프로젝트 구조 IntelliJ의 프로젝트 구조 Eclipse IntelliJ Workspace Project Project Module IntelliJ에서는 한 프로젝트 내에 여러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. 지난 프로젝트로 디렉토리 구조 살펴보기! controller : DispatcherServlet에서 전달된 요청을 처리 index.jsp : 뷰(.jsp) applicationContext.xml : 스프링 컨테이너 설정 파일 dispatcher-servlet.xml :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최초로 받아서, 이를 컨트롤러에게 전달 web.xml : DispatcherServlet 맵핑, 스프링 설정 파일 위치를 정의 src/main ~/java : 자바 클래스(컨트롤러, 모델, DAO, V..

💻/스터디 2020.08.03

[스프링 스터디] 1주차 - 서버의 개념, MVC 패턴, Framework vs. Library, Spring Framework

서버의 개념 1. 서버의 역할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면 서버에서 응답 값을 보냄 2. HTTP와 CRUD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: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. http 형식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/응답을 주고받음. (json, xml 형태 등으로 제공) { "articles" : [ {"title": "안녕하세요"}, {"title": "서버 스터디!"} ] } CRUD :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. Create - POST Read - GET Update - PUT Delete - DELETE 3. 서버 아키텍처 WAS : 웹 서버로는 처리할 수 없는 동적 컨텐츠인 데이터베이스 조회 및 로직 처리를 담당한다. 사전적 정의로는 인터넷 ..

💻/스터디 2020.08.03